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중국, 중관촌 전략적 신흥산업정책 기지로 성장하다.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10-26 00:00:00.000
내용 중국의 산업발전을 이끌어 온 중관촌(中關村) 국가자주혁신시범단지는 '최첨단, 고효율, 응용성'을 추구하고, '정보통신, 바이오,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신에너지원'등 신흥산업을 지원하는 하이테크산업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의 길을 걸어왔다. 2010년 10월 개최된 '2010 중관촌포럼'에서는 오랜 기간의 발전과 성숙을 토대로 중관촌이 지닌 발전전략적신흥산업의 우수한 기초가 중국 전략적신흥산업의 정책기지가 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음은 분야별로 나눠 중관촌의 발전 현황을 살핀 내용이다. [첨단혁신자원의 집성지] 중관촌은 국가의 전략적 수요에 부합하고 민생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핵심기술연구와 표준화 응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으며 글로벌경쟁력을 지닌 기술, 특허, 표준을 개발하고 산학연이 유기적으로 결합한 모델을 모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관촌은 중국의 전략적 신흥산업분야에서 선두주자로 활약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기술적으로 가장 핵심적인 중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중관촌의 국가급 첨단혁신자원수량은 전국 제1위를 기록하고 있다. 국가공정실험실은 37개소로 전체의 77.1%이고, 국가공정연구센터와 국가중점실험실은 각각 37개소와 82개소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전체의 47.4%와 37.3%이다. 그 밖에 세계 500대 기업 중 101개소와 중국 대표 기업이 베이징에 R D센터를 설립하였다. 중관촌은 핵심기술의 R D와 시범응용 분야에서도 큰 활약을 펼치고 있다. 2009년 말을 기준으로 중관촌의 기업, 대학 및 과학연구기관은 국가과학기술중요전문프로젝트 중 1100여 가지 항목을 담당하고 있으며, 핵심전자기기, 통신설비 칩, 차세대광역무선이동통신, 중대신약제약 등 11가지 국가과학기술중대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중관촌이 주도하여 참여한 프로젝트 중 국제표준은 약 100여 종에 달하며, 연간 특허신청량은 15000여 건인데 그 중 특허 허가가 된 내용은 전체의 60%에 달한다. 특히, 클라우드컴퓨팅, 사물의 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 스마트네트워크, 바이오의약 등 전략적 신흥산업의 중점 분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현재 중관촌에는 산업연맹 42곳에 달하며, 이에 참여하는 기업은 2000개소를 넘어섰다. [첨단산업클러스터] 중관촌은 중국 정보네트워크산업의 발원지로서 기초가 매우 튼튼하며, 자주혁신능력과 산업체인설비에서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정보네트워크 산업클러스터이다. 중관촌의 특징을 몇가지 꼽자면, 첫째, 산업 클러스터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발전 잠재력이 매우 크다. 둘째, 신소재, 첨단설비제조 등 분야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중국의 전략적신흥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매개체가 되고 있다. 셋째, 전략적 신흥산업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매커니즘과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글로벌 자원을 십분 활용함으로써 중국의 전략적 신흥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를 다져왔다. 베이징시위원회와 베이징시정부는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을 위해 중대과학기술성과전환 및 산업프로젝트 자금을 위한 통합메커니즘을 구축하여 2010년부터 2014년에 이르는 5개년간 약 300억 위안(약 5조 373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85개의 프로젝트가 제 1기 중대과학기술성과전환 및 산업 프로젝트에 포함이 되었으며 34억 7400만 위안(약 5,833억 원)의 지원금을 조달하였다. 베이징시는 중관촌의 첨단산업클러스터를 조기에 완성하여 첨단산업클러스터로 성장시키기 위해 베이징시는 자원을 통합관리하여 여러 구역에서 첨단산업클러스터공정을 추진하고 중관촌과학단지를 조성하였다. 또한 베이징의 남쪽과 북쪽 지역에 하이테크기술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상호협력능력을 증강시켰다. 통계에 따르면 2009년을 기준으로 해외유학을 다녀온 후 중국 국내에서 창업한 사람은 중관촌에만 1만 2천명에 달해 전국의 1/4을 차지하는 등 국내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또한 유학생이 창업에 참여한 기업은 5000개소로 국내 유학생창업기업 중 가장 많은 숫자이다. 중관촌에는 현재 창업구역이 29개소이고 이제 초기단계에 들어선 기업은 1200여 곳이다. 2009년을 기준으로 중관촌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 국적 및 홍콩 마카오 타이완 등지의 인재는 7,608명으로 동기대비 34% 늘어났다. [혁신추진의 원동력] 중국 최고의 하이테크기술산업 발원지인 중관촌은 기술과 상품 및 문제해결 방안에서도 선진화된 관리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외부에 전파하고 있다. 서부대개발, 동북지역 낙후지대개발, 중부발전, 동부연안단지 산업 업그레이드, 구조조정 등 중국의 여러 사업에 큰 도움을 제공하였다. 이로써 중국의 경제발전방식전환과 산업의 최적화에 큰 공헌을 하는 대형 엔진 역할을 하였다. 중관촌은 소프트웨어 정보통신서비스, 바이오의약, 에너지절약 및 환경보호 등의 분야에서 중국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으며, 국가안보와 재난방지, 중대공정,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등 분야에서도 큰 공헌을 하고 있다. 중관촌기술교역시장은 전국의 1/3 수준으로 거래량의 약 70% 이상이 북경 이외의 도시로 전파되어 중국의 산업업그레이드에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중관촌의 지속적인 혁신관리서비스모델 발굴은 산업단지 간 상호협동을 촉진하고 중국의 경제발전방식전환 및 산업업그레이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향후 중관촌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까지 2-3개의 전략적 신흥산업 분야에서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국제적인 영향력을 지닌 중대혁신성과를 창출해낸다. 둘째, 또한 몇년간 100억 위안 이상의 수입을 만들어내는 글로벌기업을 육성한다. 셋째, 전략적 신흥산업의 전체적인 규모를 확보하고 베이징의 수도산업구조조정과 발전 방식에 전환을 도모한다. 넷째, 전략적 신흥산업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고 과학기술금융 및 기술이전 등에 있어서 메커니즘개혁에 중요한 성과를 낸다. 이때 기본적으로 전략적 신흥산업의 특징에 부합하는 산업발전 환경을 육성한다. 다섯째, 중관촌 국가자주혁신시범단지를 구축하여 중국의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에 근거지가 되도록 한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28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