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중국, 산업구조 조정의 가속화로 산업전환 업그레이드 촉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3-30 00:00:00.000
내용 2010 년 3 월 16 일 , 리이중 장관은 《구시 ( 求是 ) 》 (2010.6 기 ) 에 발표된 《산업구조 조정의 가속화로 산업전환 업그레이드 촉진》에서 , 국제 금융위기의 난관을 산업구조의 조정과 전환 업그레이드를 가속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삼아 , 더 크고 강한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 리 장관은 첫째 , 공급구조를 개선하고 내수확대를 촉진하는 것이 , 산업을 안정적으로 발전 , 유지시키는 기본루트로서 , 소비촉진 정책에 초점을 둘 것 . 둘째 , 3G 발전 , 삼망통합 등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여 새로운 소비영역을 개척할 것 . 셋째 , 수출산업 구조의 조정과 안정적인 노동집약형 제품의 수출 촉진으로 , 우수한 전통제품과 독자적 브랜드 수출을 확대하고 , 내수 및 국외시장의 균등한 발전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다음은 《산업구조 조정의 가속화로 산업전환 업그레이드 촉진》 전문을 요약한 내용이다 . 1. 중국 산업은 국제 금융위기의 준엄한 시험을 통해 , lsquo;V rsquo; 자형으로 반등하는 중대한 전환을 실현하였다 . 2009 년은 21 세기 진입한 이래 중국의 경제발전에 가장 힘든 시기였다 . 중국은 lsquo; 산업유지 , 즉 성장유지 , 고용유지 , 안정유지 rsquo; 의 대 국면 속에서 많은 조치들을 단행하여 , 짧은 시간 안에 lsquo;V rsquo; 자형으로 경제를 회복 , 반등시켰다 . 2009 년에는 11% 성장으로 안정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 1) 내수확대와 수출안정에 주력 가전 , 농기계 , 자동차 및 오토바이의 농촌 보급 및 자동차 , 가전제품의 신구교체 , 소형차 구입시 감면세 혜택 등의 정책으로 소비촉진과 민생복지를 추진한다 . 10 대 중점 산업조정 추진과 진흥계획 실시 2) 기업에 대한 기술개조 지원 국무원이 설립한 200 억 위안의 중앙재정 기술개조항목 기금을 기업의 취약한 분야에 대한 기술개조를 위해 중점 지원한다 . 2009 년에는 230 억 위안화 기금을 4,441 개 항목 , 총 6,326 억 위안의 사회투자를 촉진하였다 . 3) 도태 및 낙후된 산업의 합병과 에너지절약 배출감축에 주력 기계 , 야금 , 자동차 , 유색 , 전자정보 등 주요 업계의 합병을 가속화 추진하여 , 업계의 집중도를 향상시킨다 . 4) 전략적 신흥산업의 육성 전자정보 , 첨단장비 제조 , 신에너지 , 신소재 , 바이오 의약 등 신흥산업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 현대물류 등 생산적인 서비스산업의 발전에 중점 지원한다 . 3G 산업 발전을 통해 새로운 성장점을 신속히 형성하고 , 금년도 1,609 억 위안을 직접 투자하여 네트워크 , 서비스 및 새로운 업무의 빠른 발전을 이끈다 . 응용 정보기술의 개조로 업그레이드 된 전통산업의 효과가 새로운 성장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 5) 중소기업 발전을 위한 환경 개선으로 활력 증강 정책 및 법 규정 , 신용대출 , 재세지원 , 정부서비스 플랫폼 등 각 방면에서 중소기업이 발전 할 수 있도록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한다 . 중앙은 중소기업의 기술개조와 시장개척의 능력을 더욱 강화한다 . 6) 과학기술 혁신과 품질 브랜드 구축 핵심분야에서 취득한 중요한 독자적 혁신 성과와 주요 설비의 자주화 , 현지화 수준을 향상시켜 산업화를 가속화한다 . 2. 산업전환의 업그레이드를 좋은 전략적 기회로 인식 중앙 경제 업무회의에서는 구조조정과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을 중시할 것을 강조하였다 . 1) 중국의 산업 및 정보화 발전은 큰 변혁과 도전에 직면하였다 . 현재 세계경제는 신속한 구조조정으로 새로운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 선진국들은 신에너지 , 신소재 , 정보 , 환경보호 , 생명과학 등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하여 , 미래의 과학기술과 산업발전을 선점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산업은 심층적인 모순과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다 . 산업구조의 불합리 , 일부 업계의 생산능력 과잉모순 , 투자와 수출의 과도한 의존도 , 독자적 혁신능력의 부족 , 핵심기술 및 브랜드 결여 등 . 중국 산업은 여전히 대량의 소모적 물질자원에 의존해 있고 , 환경자원이 받쳐주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없는 상황이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반드시 산업구조의 조정을 신속히 추진하고 , 산업전환의 업그레이드를 촉진해야 한다 . 동시에 이를 전략적 기회로 삼아야 한다 .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경제의 심각한 조정은 중국이 빠르게 구조조정을 하고 발전방식을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 2) 장기간 고속 성장 후 , 이제 중국은 산업구조의 조정과 전환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는 새로운 발전단계에 들어섰다 . 산업화 , 정보화 , 도시화의 산업전환 업그레이드를 추진해야 한다 . 3) 중앙은 일련의 중대한 정책조치를 통해 중국의 산업전환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기 위해 강력한 힘을 제공하고 있다 . 내수확대 및 소비촉진 정책 조치로 소비수요 확대와 소비열기 육성 , 2 년간 4 만 억 위안화 투자계획 , 중점 산업조정 및 진흥계획 제정 , 중소기업의 융자 및 환경개선 , 전략적 신흥산업의 대대적 육성 , 기술개조와 독자적 혁신을 위한 국가 중대과학기술 프로젝트 실시 , 심화된 사회보장 개혁 , 고용확대 등 산업 변환 업그레이드 추진을 위해 주요 보장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 3. 구조조정을 촉진하여 신속한 산업전환 업그레이드 모색 및 시행 산업구조의 조정과 전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는 주요 목표는 , 과도한 규모확대로 에너지자원을 소모시키는 발전방식에서 , 효율 , 품질 및 효과를 중시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방식으로 전환하여 , 중국 특색의 새로운 산업화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 1) 현재 당면한 전략적 기회를 포착하여 산업구조 조정을 가속화한다 . 4 공업산업 구조의 조정 4 산업조직 구조의 개선 4 기술과 제품 구조의 향상 4 공업지구 배치의 최적화 2) 핵심 영역을 파악하고 , 발전방식의 변화를 추진한다 . 4 기업의 기술개조를 신속히 추진하여 , 새로운 산업화 발전에도 적용되는 장기적이고 효율성 있는 메커니즘 구축 . 4 낙후 , 도태된 산업의 합병을 추진하여 , 일부 업계의 과잉 산업과 중복 건설을 억제 . 4 에너지소모율 저하와 배출감축의 대대적인 추진으로 , 자원절약형 , 친환경 산업발전을 촉진 . 4 산업기지 및 공업단지를 기지로 삼아 , 산업집적 및 집약식 발전을 촉진 . 3) 정보기술의 심도 있는 응용을 통해 정보화 및 산업화 통합 수준을 향상한다 . 기업 , 업계 및 지역 등 세 측면에서 정보화 및 산업화의 전방위적이고 멀티화된 , 높은 수준의 통합을 추진한다 . 정보기술의 개조를 통해 전통산업을 업그레이드하고 , 물련왕 발전정책을 제정하여 신형 산업을 촉발한다 . 중국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애플리케이션 R D 촉진하고 , 전자상거래와 전자정부의 개발을 추진한다 . 4) 독자적 혁신능력을 강화하여 , 혁신과 내적 성장을 이룬다 . 중대 과학기술 프로젝트 실시를 계기로 과학기술 자원을 통합하고 , 핵심기술을 돌파한다 . 기술혁신 주체로서 기업의 역할 강화와 시장을 목표로 산학연이 상호 결합하여 , 혁신적 요소와 자원을 기업에 집중시킨다 . 제품의 품질 향상과 독자적 브랜드전략으로 제품과 시장혁신의 추진 , 소비촉진 및 소비구조를 향상시킨다 . 표준화와 지식재산권 전략실시로 , 독자적 지식재산권과 기술 표준화를 형성한다 . 기업의 재무자금 , 인력자원 , 전략계획 및 시장마케팅 등 관리혁신으로 효율과 수준을 향상시킨다 . 5) 심 화된 시스템 메커니즘의 개혁을 통해 정책보장 체계를 갖춘다 . 시장 메커니즘과 거시적 제어의 상호결합을 통해 산업구조 조정과 전환 업그레이드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 낙후된 산업의 기업합병 , 정보화 및 산업화의 통합 , 공업단지 등의 세금 및 금융 , 환경보호 및 토지 , 수출입 조치 등을 지원하고 , 산업전환 업그레이드에 유리한 사회보장 , 인재 , 취업 등 관련정책을 마련하여 제도적으로 보장한다 .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08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