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합성 DNA를 통한 데이터 스토리지 문제 해결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20-10-20 00:00:00.000
내용 프랑스, 영국, 아일랜드 등의 다국적연구팀은 최근 유럽위원회에서 제공하는 3백만 유로의 자금을 활용하여 OligoArchive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동 프로젝트는 데이터의 비약적인 증가에 따른 데이터 스토리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합성 DNA 디스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DNA는 이론적으로 단일그램에 최대 455개의 정보 또는 4550억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과 무관하게 데이터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하드드라이브가 매 5년마다, 테이프 시스템이 매 20년마다 시스템 업데이트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DNA 저장시스템은 매우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그러나 현재 DNA디스크 개발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가격 문제에 직면해있는 상태다. 천연이든 합성이든 DNA는 네 개의 뉴클레오티드 시퀀스로 구성된다. 이 뉴클레오티드 200개를 합성하는데 1달러가 필요한데, 현재 단일 이미지를 인코딩하는데 수천개의 뉴클레오티드가 필요하다. 따라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금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뉴클레오타이드가 연속적으로 너무 여러번 반복 될 경우 시퀀싱에 오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연구팀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의 해결책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동일한 갯수의 뉴클레오티드에 평균적으로 더 많은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DNA코드 시퀀스를 만드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점이 해결된다면 비용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팀은 디코딩 중에 DNA코드 시퀀싱 프로세스와 관련된 오류를 자동으로 수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동 문제가 해결될 경우, 데이터 스토리지 분야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200057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DNA,데이터 스토리지,DNA 디스크 2. synthetic DNA,data storage,DNA d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