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연구데이터동맹(RDA), 2021년 총회 개최 결과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21-12-21 00:00:00.000
내용 연구데이터동맹(RDA)은 유럽 위원회, 미국 NSF 및 NISO, 호주 혁신부가 2013년에 설립한 커뮤니티 중심의 비영리 이니셔티브임. 처음부터 완전히 독립적인 풀뿌리 조직인 RDA는 개방된 데이터 공유와 재사용을 지원하는 사회 및 기술 인프라를 구축함. 2021년 11월 초에 2주 동안 진행된 RDA 총회는 COVID-19 안전성을 위해 Whova, Zoom, 그리고 약간의 Gather를 통해 비대면 행사로 진행됨.   풀뿌리 커뮤니티인 RDA 총회는 연간 2회 자발적인 참여자에 의해 준비되며 각 세션은 실무 그룹, 이익 그룹, 실무 커뮤니티, 깃털 그룹(새로운 주제에 대한 관심을 측정하기 위해 단일 RDA 전체 회의로 준비됨)을 포함됨. 총회가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기에 RDA 홈페이지에는 설명서의 웹페이지와 소개 영상이 제공함.   연구데이터생태계의 엄청난 규모 연구데이터 생태계를 처음부터 개발하는 것은 개인 연구원 및 실무 커뮤니티에서 자금 제공자 정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조치가 필요한 상당한 도전임. 주제 수준에서 RDA에는 유럽 ​​지구과학 및 미국 지구 물리학 연합의 의장이 있는 지구, 우주 및 환경 과학 이해 그룹(IG)과 같은 스콜라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는 영역 또는 주제별 그룹이 있음. 이러한 그룹 중 일부는 매우 세분화된 구체적인 사항을 다루고 있음.   보다 높은 수준에서는 데이터관리계획(DMP)에 대한 공통 표준, 메타데이터 표준 카탈로그 및 우수한 연구 관리 관행을 가진 연구자를 참여시키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는 그룹도 있음. 총회는 거의 모든 범주를 최소한 어느 정도는 대응하고 있기에 관심이 있는 몇 가지를 선택된 작업만 정리하여 보고함.   지속성에 관한 모든 것 본회의 첫날 이른 시간에 진행된 첫 번째 세션은 PID 관심 그룹(PID IG)에서는 실행 주제 중 하나인 '지속력은 기술적인 문제라기보다 사회적인 문제'에 대하여 논의함. ORCID의 Tom Demeranville 이 말했듯이 OpenAIRE 및 ORCID 와 같은 조직에서 PID를 정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URL이 변경되더라도 항상 특정 디지털 리소스에 연결되는 포인터로 설명됨. PID에는 객체를 설명하고 다른 PID에 연결하여 새로운 지식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는 관련 메타데이터도 있음. 모든 링크와 메타데이터를 유지 관리해야 하므로 PID 시스템은 다른 모든 웹 리소스와 같은 동일한 링크-로트 문제를 겪을 것임.   호주 연구데이터공유(Australian Research Data Commons, ARDC)의 Natasha Simons는 PID를 조직적 과제로 생각하여 PID를 만들고 유지 관리하기 위한 투자의 필요성에 관해 이야기함. 커뮤니티는 PID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 및 조직 구조를 설계하고 만드는 데 능숙하지만, PID의 가치를 가시화하려면 커뮤니케이션 및 마케팅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함. 그래야만 좋은 거버넌스와 지속 가능성 모델의 도움으로 일부 PID가 소규모 보조금 지원 프로젝트에서 지속 가능한 조직으로 전환할 수 있음.   OS 채택을 유도하는 주요 과제는 잘못 정렬된 인센티브로서 PID에 통합되는 메타데이터(ORCID, Crossref의 DOI, DataCite, ROR 또는 RAiD)는 다른 이해 관계자가 자신의 메타데이터와 시스템 통합을 추가할 경우에만 가치가 있음. 즉, PID 그래프에 메타데이터를 추가하면 일반적으로 입력한 사람보다 다른 이해관계자에게 더 많은 도움이 됨. 예를 들어, 기금 제공자는 연구원과 기관이 보조금으로 자금을 조달한 결과물에 대해 보고해야 하지만 출판사는 어떤 콘텐츠를 획득하거나 개발할 제품 및 서비스를 알 수 있도록 지원되는 새로운 연구의 우선순위를 알아야 함.   실제 PID IG에 제기한 질문은 어떻게 하면 이러한 인센티브를 조정하고 가치를 더 명확하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임. 해답은 의무사항인가 아니면 인센티브 개선인가, 또는 참여 보고서인가 아니면 자금 지원자들의 통합에 대한 중앙 지원인가, 그리고  제품 및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타깃팅할 것인가, 아니면 더 나은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할 것인가 아니면 위의 모든 것들의 조합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음.   메타데이터 상호 운용성 다른 관심 주제는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으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면 출판된 기사, 연구원, 데이터 세트, 컴퓨터 프로그램, 기관, 보조금, 자금 제공자 등을 연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공유 시설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음.   RDA에서 열린 여러 세션에서 메타데이터 문제를 다루었는데, 여기에는 연구기관 IG의 연구 데이터 아키텍처가 포함됨.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James Wilson은 ePRINT 리포지터리, 연구비 보고를 위한 Researchfish , CRiS 시스템 Symplectic Elements를 포함한 기술 컬렉션에서 연구 데이터 생태계를 어떻게 개발해 왔는지 설명함. 케이프타운 대학의 Kimi Keith는 CRIS 시스템(Clarivate Convergis)에 통합된 전자 연구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연구데이터 관리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에 관해 설명함. 결국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 부족이 연구 관리 자동화에 심각한 장애물이라고 설명함.   총회 결과 2021년 RDA 총회는 메타데이터 또는 데이터 스키마에 대한 전략적 관리의 필요성과 최고 수준의 논의에 이르기까지 보다 더 나은 표준, 모범 사례, 워크플로 및 시스템 상호 운용성에 대한 요구를 그 어느 때보다 명확하게 진행함. 우려사항은 RDA에서 모든 사항을 처리할 수 없다는 것임. 발행인, 학식 있는 사회, 기관, 도서관 및 자금 제공자는 모두 더 우수하고 효율적이며 연결된 연구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함. RDA는 모든 이해 관계자의 대표가 있지만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작업이 필요함. 출판사가 연구에 대한 개선된 메타데이터와 원활한 프로세스에서 얻을 수 있는 즉각적인 이점부터 과학을 가속화하고 생명을 구할 연구 인프라에 대한 체계적인 이점에 이르기까지 이해관계자 모두가 변화에 관심을 갖고 새로운 변화에 참여해야 함.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21095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