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핵융합 연구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9-04-07 00:00:00.000
내용 중국은 핵융합 발전 추진전략을 뒷받침할 연구소 건립을 승인했다. 이 연구소는 운전 조건에서 대형 초전도 자석과 필터를 시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중국과학원 플라스마물리학연구소(Institute of Plasma Physics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는 핵융합로의 주요 시스템시험을 위한 통합연구시설을 갖추는 것이 제13차 5개년 계획 상 주요 과학공학 프로젝트 중 하나라고 밝혔다.이 프로젝트의 과학적 목표는 자기구속 핵융합(magnetic constrained fusion)의 경계 매개변수 하에서의 플라즈마 거동을 연구하고 핵심 시스템과 구성 기기에 대한 동적 하중 등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하중 조건에서 필터와 초전도 자석의 운전성능을 평가하게 된다.중국은 중국핵융합엔지니어링 시험용원자로(China Fusion Engineering Test Reactor)로 알려진 토카막 핵융합로(tokamak fusion reactor)를 건설해 2030년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토카막은 국제 Iter 프로젝트보다는 작지만 일부 운전모드에서는 핵융합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열보다 최대 10배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상당한 성능이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규모 실험장치를 통해 중국은 2050년경 핵융합발전소를 만드는 데 필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중국과학원은 부지 선정, 사회적 위험성 평가, 환경영향평가 연구가 모두 수행되었고 승인 완료되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건설 착수를 위한 최종 투자예산 확정만을 기다리고 있다. 건설 부지에서의 준비작업은 2018년 12월 14일부터 진행되고 있다.이 시설은 Shanghai에서 서쪽으로 약 400km 떨어진 Anhui 성의 성도인 Hefei 서북쪽의  Lyuang구에 건설될 예정이다. 중국과학원과 Anhui 성 정부가 공동으로 건설을 맡고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90051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핵융합,초전도 자석,토카막 핵융합로 2. nuclear fusion,superconducting magnet,tokamak fusion re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