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디지털 리포지터리, 그 10년 간의 변화 및 이용에 관한 조사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2-07-24 00:00:00.000
내용 본 글은 영국학회?전문협회?출판사협회(Association of Learned, Professional and Society Publishers, ALPSP) 가 발행하는 Learned Publishing(2012년 7월호)에 개재된 기사이다. 디지털 리포지터리가 등장한지 10년이 지난 지금 1,700여 명에 달하는 전 세계 연구자들의 생각과 이용법을 조사한 보고서로, 저자는 영국의 CIBER, 영국레스터대학, 이란의 Kharazmi 대학 소속의 5명으로 이루어졌다. 초록 디지털 리포지터리는 10여 년 전에 등장했고, 미디어와 각종 회의 등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이 보고서는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이용과 이용 목적, 연구자 의식, 앞으로의 행방을 보고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연구자 약 1,700여 명(대부분 물리학자)이 이 조사에 응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특히 젊은 연구자의 등재율이 높고, 규칙이 잘 지켜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관 리포지터리 자원의 활용은 제한적이지만, 영향력과 이용 면에서는 상당히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다. 주제 리포지터리(arXiv, Pubmed Central 등)는 충분히 발달했고, 기관 리포지터리의 환경은 점점 좋아지고 있지만, 아직은 미숙한 단계에 있다. 목적 골드 오픈액세스(오픈액세스 저널에 게시하는 방법)와 그린 오픈액세스(리포지터리 등에 자체 보관하는 방법)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기반으로 주로 그린 오픈액세스 움직임에 중점을 두어, 저널기사 보다는 도서관이 설립한 아카이브 또는 디지털 아카이브 리포지터리에 대해 다루고 있다. - 연구자가 리포지터리를 사용한다면 그 목적은 무엇인가? -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 기관 리포지터리와 주제 리포지터리가 연구자에게(3년 안에) 얼마나 중요한가? 범위와 정의 디지털 리포지터리를 다음의 3가지로 분류했으며, 연구의 범위는 글로벌 단위이지만 제한된 주제 분야에서 정보원을 선정했다. - 특수대학 및 유사기관을 다루는 기관 리포지터리 - 각 전공 분야를 담고 있는 주제 리포지터리 - 전자논문, 연구데이터, 디지털 이미지를 담고 있는 포맷 리포지터리 방법론 IOP Publishing(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의 이메일 목록 주소를 활용(85,000건)해 2011년 12월 19-31일 사이에 이메일을 발송했고, 이에 대한 회신은 약 2% 이하(1,685건)였다. 전 세계 약 100여 국가의 응답 비율은 미국 16%, 중국 10%, 이탈리아·인도·독일 6%, 러시아·영국 5%였으며, 회신된 이메일을 국적, 나이, 직업, 전공분야별로 분석했다. 결론 16개의 질문항목을 통해 분석한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Depositing rates - Reasons for depositing - Type of repository used - Type of content deposited - Website availability - Type or repository preference - Relative repository performance -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repository - Free-text comments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높은 등재율을 보여주지만 물리학자의 해당 비율이 높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대부분의 참여 연구자들의 리포지터리 존재에 대한 인식률이 낮다. - 자율적인 연구논문의 등재율이 높지만 주로 오픈액세스 의무화의 관행에 따른다. - 기관 펀딩 권한과 Peer 압력은 등재율을 이끌어 내는 큰 역할을 하지만 젊은 연구자의 경우 의무화를 따르는 경향을 보인다. - 저널 기사와 전자 논문은 문서의 형태로 연구물을 등재하며, 주로 웹페이지 상에서는 기사형태로 등재하는 경향을 보인다. 젊은 연구자들에게는 Peer Review 스탬프가 중요한 편이며, Review가 없는 기사는 신뢰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 대부분의 연구 등재자는 분야별 웹사이트에서 활용하기도 하지만 소수이며, 공식적인 루트로는 주제 또는 기관 리포지터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 리포지터리의 관점 : 자료에 대한 가변성의 질과 장기 보존에 대한 불완전성, 젊은 연구자들의 자료 공유 시 같은 자료에 대한 다양한 버전의 이용으로 인한 혼란 가능성, 골드 오픈액세스의 활용을 통한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확장기대, 도서관 관리자와 리포지터리 이용자의 색다른 관점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 도서관 관리자의 입장 ? 도서관이 일련의 과정으로 디지털 리포지터리를 본다면 연구자들은 하나의 도구로 본다. 도서관 관리자는 어떻게 리포지터리를 제공하기를 원하는지, 큐레이션 방법, 자료 제공 및 이용방법에 관심을 둔다면, 연구자들은 연구자의 경험 면에서 리포지터리의 변화에 대한 관심과 저작권에 관한 불확실성, 등재방법, 골드 오픈액세스의 활용 등에 관심을 갖는다. ? 연구자들은 주제 리포지터리에 자료를 올리는 것을 선호한다. 가장 많은 응답자가 리포지터리 사용목적은 정보검색을 위한 것이라고 대답했다. ? 미래에는 연구자들이 골드 오픈액세스가 그린 오픈액세스로 변화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으며 대조적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경우 기관 리포지터리에 대한 높은 선호율 등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2070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디지털 리포지터리; 변화: 연구자; 이용법; 조사 보고서 2. Digital repositories; ten year; scientific researchers;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