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논문DB 분석에 의한 주요 연구영역의 동향 조사(사이언스 맵)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5-31 00:00:00.000
내용 1. '사이언스 맵'의 개요 ○ 과학기술정책연구소의 '사이언스 맵'은 과학연구의 동적 변화의 정기적인 관측을 목적으로 작성하는 조사로, 연구영역을 매핑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 사이언스 맵을 이용한 과학연구 분석은 ①논문의 그룹화에 의한 연구영역 구축 ②연구영역의 매핑에 의한 가시화 ③주요 연구영역의 내용 분석의 3가지이다. ○ '사이언스 맵 2008'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간 발행된 논문 중에서, 매년 각 분야(임상의학, 식물·동물학, 화학, 물리학 등 22개 분야)에서 피인용수가 상위 1%인 고(高)피인용도 논문(약 5만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사이언스 맵'에서 본 과학연구 (1) 생명과학계 ○ 생명과학은 맵상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 임상연구(심장·혈관질환, 비만, 암, 재생의학)와 기초연구(감염증·면역, 뇌·신경, 포스트 게놈(post-genome), 식물과학)가 강한 관계를 가지면서, 발전하고 있는 모습이 관측되었다. (2) 화학, 나노 사이언스 ○ 나노 사이언스, 화학, 물성 연구는 근접하고 있으며, 강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 화학, 나노 사이언스의 연구영역에는 바이오, 의료, 환경을 의식한 연구영역이 산재하고 있다. - 나노 사이언스는 착실하게 발전해, 맵상에서 확대를 보이고 있다. (3) 물성 연구, 소립자·우주론 ○ 물성 연구의 연구영역군에서는 연구테마의 변천이 명확하다. ○ 소립자·우주론은 기본적으로 연구영역군으로서의 변화가 없다. ○ 그러나, 물성 연구 유래와 소립자·우주론 유래의 연구영역간에서 융합이 확인되어, 물성 연구와 소립자·우주론의 연구영역군의 관계가 밀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과학연구의 추세 (1) 연구영역군간에 볼 수 있는 지식의 파급 및 융합 ○ 사이언스 맵 2002에서 2008에 걸쳐, 연구영역군의 배치는 큰 변화가 없지만, 사이언스 맵 2002 이후, 생명과학계 연구영역의 논문 비율이 저하하는 경향이다. 한편, 나노 사이언스 등의 비생명과학계 연구영역의 논문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2) 지식의 파급이나 융합에 대응한 영역 위치의 변화 ○ 생명과학과 나노 사이언스, 물성 연구와 소립자·우주론 등에서 융합하는 등의 움직임이 있다. 이는 지식의 파급이나 융합에 대응해 변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주요 국가의 활동 상황 (1) 주요 국가의 논문 쉐어 ○ 전체 연구영역에서의 각 국가의 논문 쉐어의 시계열 변화를 살펴보면, 일본의 관여도(정수 카운트법)는 사이언스 맵 2008에서는 8.0%로 미국(57.9%), 독일(13.9%), 영국(13.4%), 프랑스(8.7%)에 이어 5위로, 사이언스 맵 2004를 정점으로 저하하는 경향이다. (한국 : 1.9%) ○ 공헌도(분수 카운트법)는 사이언스 맵 2008에서는 5.4%로 미국(43.5%), 영국(7.0%), 독일(7.4%)에 이어 4위로 사이언스 맵 2002로부터 저하 경향이다. (한국 : 1.0%) ○ 미국은 관여도, 공헌도는 모두 저하 경향이다. - 그러나, 사이언스 맵 2008에서의 관여도는 57.9%, 공헌도는 43.5%로, 과학 전반에 걸쳐 큰 지식의 근원이 되고 있다. ○ 영국, 독일, 프랑스의 관여도는 사이언스 맵 2002 이후 상승 경향이다. - 하지만, 공헌도에서는 영국은 저하, 독일은 상승, 프랑스는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국가별로 양상이 다르다. ○ 중국은 관여도(7.2%), 공헌도(5.2%) 모두 상승 경향이다. - 사이언스 맵 2002와 2008을 비교하면, 관여도는 5.9포인트 상승해 7.2%이며, 특히 나노 사이언스에서 일본을 웃도는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2) 사이언스 맵에서 본 분야별 일본의 상황 ○ 각 연구영역의 쉐어를 사이언스 맵상에 부가시켜 일람 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한 전체의 쉐어 뿐만이 아니라, 어떠한 위치에 있는 연구영역에서 일본이 존재감을 갖는지 가시화하였다. 그 결과, 일본은 화학이나 나노 사이언스, 물성 연구의 근처에서 존재감이 높다. 5. 관여도를 늘리고 있는 영국·독일과 일본의 차이 ○ 사이언스 맵에서, 관여도를 늘리고 있는 영국·독일과 일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 영국·독일에 비해, 일본의 참가 영역의 다양성은 낮다. ○ 사이언스 맵에서, 관여도를 늘리고 있는 영국·독일과 일본의 첫 번째 차이는 '참가 영역의 비율'이다. - 영국·독일은 TOP 1% 논문수가 1건 이상인 연구영역(참가 영역)의 비율이 약 60%인데 반해, 일본은 약 40%에 머문다. 일본의 참가 영역의 비율은 사이언스 맵 2002이후 큰 변화를 볼 수 없다. 영국이나 독일에 비해, 일본의 참가 영역의 다양성이 낮다. - 영국·독일과 일본의 차이가 큰 참가 영역은 학술적·분야 융합적 영역 및 임상의학의 연구영역이다. (2) 일본은 분석의 모집단인 TOP 1% 논문 쉐어도 저하하고 있다. ○ 영국·독일과 일본의 두 번째 차이는 분석의 모집단인 'TOP 1% 논문에서의 쉐어'이다. - TOP 1% 논문에서, 일본의 관여도, 공헌도 모두 저하 경향이다. - 사이언스 맵에서 영국·독일의 관여도가 높은 배경으로는 양국의 국제 공저율이 73%, 72%로 매우 높은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연구 활동의 국제화에 수반해, 세계적으로 국제 공저 논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논문과 비교해 피인용수가 높다. - 목차 - 제1부 사이언스 맵 2008 1. 서론 2. 조사 방법 3. 사이언스 맵으로 본 과학연구의 다이너미즘 4. 사이언스 맵으로 본 주요 국가의 활동 상황과 강점·약점 5. 정리 제2부 주요 연구영역의 내용 분석 1. 주요 연구영역의 내용 분석 결과의 이해방법 2. 주요 연구영역의 내용 분석 결과 3. 웹 앙케트 조사 4. 인터랙티브 사이언스 맵의 시도 5. 주요 연구영역의 정보 6. 사이언스 맵상에 나타난 주요 국가의 논문 쉐어의 시계열 변화 7. 중심성의 계산방법에 대해 8. 웹 앙케트 조사 코멘트 일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15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