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대학공동이용기관 법인의 운영 현황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2-07 00:00:00.000
내용 1. 대학공동이용기관의 설치·운영 목적 가. 기본 방향 ○ 대학에 속하지 않는 '대학 공동이용 연구소'(국립대학법인법에 의해 설치된 대학과 같은 학술연구기관)로, 대학에서 정비할 수 없는 대규모 시설·설비, 대량의 데이터·자료 등을 전국의 대학 연구자에게 제공하는 일본의 독자적인 시스템 ○ 각 분야의 연구자 커뮤니티의 강한 요망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새로운 학문영역의 창출을 시도 나. 조직적 특성 ○ 관련 분야의 외부 연구자 반수를 포함한 운영회의가 인사를 포함한 운영 전반에 관여 ○ '연구자 커뮤니티 전체를 위한 최적의 연구소'로 요구되는 존재 ○ 공동 연구를 실시하는데 적절하고 유동적인 교원 조직 다. 구체적 내용 ○ 대규모 시설·설비나 대량의 학술 정보·데이터 등의 연구자원을 전국의 대학 연구자에게 무상으로 제공 ○ 연구과제를 공모해, 전국의 연구자의 지식을 결집한 공동연구 실시 ○ 전국의 대학에 대한 기술이전(장치개발 지원, 실험기술 연수의 개최) ○ 전문 분야에만 몰두하기 쉬운 연구자에게 교류의 장소를 제공(심포지엄 개최 등) ○ 해당 분야의 글로벌 연구거점으로서 국제학술협정 등에 의해 해외 창구로서 기능 ○ 우수한 연구환경을 제공해, 대학원 교육에 공헌 (대학원생의 연구지도 수탁, 종합연구대학원대학의 전공 설치) 2. 실적 현황(2008년) ○ 각 대학공동이용기관이 가지는 대형 연구시설·설비, 귀중한 학술자료 등을 이용해 공모형 공동 연구를 실시 - 응모건수 : 3,251건, 채택건수 : 2,899건, 채택률 : 89.2% ○ 각 대학공동이용기관의 특성에 따라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폭넓은 연구자를 수용해 공동 이용·공동 연구를 추진 - 연구자의 수용 실적 : 15,818명 ○ 커뮤니티의 중심으로서 활발한 연구교류를 촉진하는 역할 담당 - 심포지엄 개최수: 123회, 강연회·세미나 개최수 : 516회, 연구회 개최수 : 273회 ○ 인력양성 - 종합연구대학원대학의 학생(석·박사) : 582명(졸업생의 약 60 sim;70%가 연구자, 10%는 민간기업 등으로 진출) - 종합연구대학원대학 이외의 국공사립 대학의 대학원 학생의 학생(석·박사) : 275명 3. 신분야·영역 개척 가. 자연과학 연구기구 ○ 신분야 창출 - 기구의 분야간 제휴에 의한 학술적·국제적 연구거점 형성 사업으로 창출된 자연현상의 4차원 가시화를 시도하는 이미징 사이언스의 진전을 도모해, 새로운 학문 분야인 '뇌과학' 및 '이미징 사이언스'의 창출을 목표 - '신분야 창출센터'를 신설해, 전국 국공사립 대학의 뇌과학 연구의 사령탑으로서 추진하는 브레인·사이언스·네트워크의 구축을 추진 ○ 국제전략본부 설치 - 기구를 구성하는 5개 기관의 국제 활동에 관한 의사결정을 일원화하기 위한 국제전략본부를 설치하여 국제 활동 운영 및 각 기관의 국제 활동을 지원, 국제 공동연구지원 직원 연수를 실시 나. 고에너지 가속기 연구기구 ○ 대강도(大强度) 양자 가속기에 의한 실험 연구 - 세계 최고수준의 빔 강도를 가지는 대강도 양자가속기(J-PARC)에 의해서 얻어진 중성자, 뮤온, 뉴트리노, 중간자 등 다채로운 입자를 이용하여 원자핵·소립자 물리학, 물질·재료 과학, 생명과학 등 광범위한 연구 분야에서의 공동 이용 실험 추진 ○첨단 가속기의 기초개발 - 가속기 과학의 한층 더 발전을 목표로, 기존 가속기 시설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면서 초전도 기술 등을 응용한 직선형 전자 가속기에 의한 충돌형 가속기 및 에너지 회수형 광원 등 향후 차세대 선형 가속기 개발로 연결되는 첨단 가속기 기술의 기초 개발연구 추진 다. 정보·시스템 연구기구 ○ 생명과학 통합DB센터 - 연구기구내 2개 기관이 제휴해, 생명과학 분야의 데이터베이스 통합화를 실시하는 핵심적 거점을 형성 ○ 신영역 융합연구센터 제휴 사업 - 기구의 3개 연구영역 '지구환경', '생명', '인간·사회'를 설정해, 고도의 통계 데이터 해석 기능 및 정보기반과 일체적으로 제휴해, 대학 등과 융합연구를 실시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33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