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학술연구의 대형 프로젝트 추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1-13 00:00:00.000
내용 1. 학술연구의 대형 프로젝트 의의 ○ 학술연구의 대형 프로젝트는 최첨단 기술 및 지식을 집약하여 인류가 접근하지 못했던 연구과제에 도전하여 세계의 학술을 선도하는 획기적인 성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 대학에서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하고 , 국민들이 과학에 관심을 높이 가질 수 있게 하며 , 국제적인 경쟁과 협조 속에서 일본이 리더십을 발휘하여 세계에 공헌할 수 있어 학술정책상 추진의 의의가 크다 2. 학술연구의 대형 프로젝트 추진 ○ 대형 프로젝트는 연구시설 및 장치의 건설과 제작에서 운전 및 유지까지 장기간에 걸쳐 고액의 경비가 필요하다 . 내외 학술연구 전체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학술연구에 대한 공적 재정 지출의 상대적인 현황 및 이후의 재정상황에 유의하면서 중장기적인 자원 투입에 대한 검토를 한 후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계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 대형 프로젝트에서 대규모 연구시설 및 장치를 정비하는 경우에는 특정의 한정적인 연구분야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분야의 연구자를 이용하고 폭넓은 학술연구 추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그것을 위해 계획단계에서 폭넓은 연구자 커뮤니티의 의향을 참고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 ○ 대형 프로젝트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폭넓은 연구와 토론을 실시하는 가운데 방향성이 나타나고 , 다양한 연구성과를 집적시키는 것에 의해 추진이 가능하다 . 초기단계의 연구를 포함하여 연구시설 및 장치의 제작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시설과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 등에 관하여 지원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 3. 진행되고 있는 대형 프로젝트의 사례 ○ B 중간자에 의한 소립자 물리학 연구 추진 ( 고에너지가속기연구기구 ) - 입자와 반입자의 물리법칙의 차이에 관한 이론을 증명하고 B 중간자 등의 붕괴현상을 이용한 새로운 물리법칙을 찾는 것이 목적 - 높은 충돌성능을 가진 전자 , 양전자 충돌형 가속기를 실현하여 충돌점에 설치되어 있는 Belle 측정기에 의해 생성된 B 중간자 등의 붕괴과정을 측정 ○ 대강도 양자 가속기 시설에 의한 물질 , 생명과학 및 원자핵 , 소립자 물리학 연구 추진 ( 고에너지가속연구기구 ) - 세계 최고 수준의 빔 강도를 가진 양자 가속기 시설에 의해 다양한 이자입자 ( 중성자 , 뮤온 (muon), 뉴트리노 ( 중성미자 , neutrino) 등 ) 을 이용한 연구 실시 . 물질과학 , 생명과학 , 원자핵 , 소립자 물리학 등 기초과학에서 산업응용까지 폭넓은 분야의 연구를 추진 ○ 아르마계획 추진 ( 자연과학연구기구 , 국립천문대 ) - 일본 , 미국 , 유럽의 국제협약에 의해 칠레의 표고 약 5,000m 이 고원에 거대 전파망원경을 건설하여 별 및 은하를 형성하는 분자가스 등을 높은 공간 분해능으로 관측하여 은하 및 혹성 등의 형성과정을 해명 ○ 대형광학 적외선 망원경에 의한 천문학 연구 추진 ( 자연과학연구기구 국립천문대 ) - 대형광학 적외선 망원경을 이용하여 우주 은하가 발생된 시기의 우주 모습을 연구 ○ 수퍼 카미오칸데에 의한 뉴트리노 연구 추진 ( 도쿄대학 우주선연구소 ) - 뉴트리노 질량의 유무를 정밀하게 실증하기 위해 수퍼 카이오칸데에 의한 우주에서 날라오는 뉴트리노 관측을 추진 ○ 대형 헬리컬 (LHD; Large helical device) 에 의한 핵융합과학 연구 추진 ( 자연과학연구기구 핵융합과학연구소 ) - 초전도 코일을 이용한 헬리컬 자기장방식의 대형 실험장치를 건설하여 공동연구 및 공동이용함으로써 핵융합 에너지로 ( 爐 ) 를 위한 고온고밀도 플라즈마를 목표로 세계의 핵융합 연구와 새로운 플라즈마 연구에 공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30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