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대규모 연구시설에 관한 해외 동향 조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1-13 00:00:00.000
내용 ※ 100엔=1284.32원, 1달러=1160.00원, 1유로=1,725.85 (2009.11.14) 1. 조사개요 가. 조사목적 ○ G8 국가에서의 대규모 연구시설의 로드맵 및 우선 순위를 조사 ○ 각 연구시설에 대한 해외 연구자의 이용 가부 및 규정 등을 조사 ○ 대규모 연구시설의 공동이용과 관련된 국제 협력의 본연의 자세를 검토 나. 조사 대상 ○ 건설비와 10년간 운영경비가 500억엔을 넘는 연구시설(단, 문헌조사 등에 의해 파악 가능한 주요 연구시설을 대상) ○ 대규모 연구시설의 종류 - 방사광 시설, 중성자 빔 시설, 뮤온(Muon)빔 시설, RI(방사선 동위원소)빔 시설, 소립자 물리실험 시설, 핵융합 실험 시설, 고강도 레이저 실험 시설, 천체관측 시설, 지구관측 시설, 슈퍼컴퓨터 시설 2. 각 국의 로드맵, 우선순위 부여 등의 정책 가. 각 국의 대응 개요 ○ 미국, 영국, 독일, EU에서는 대규모 연구시설과 관련된 정책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 보고서가 공개되고 있다. ○ 그 외, OECD의 GSF(글로벌 사이언스 포럼)에서 대규모 연구시설에 관한 정보교환이 행해지고 있다. 나. 로드맵 책정 및 우선순위 부여 등의 실시 방법 ○ 원칙적으로 위원회 등을 설치하고, 연구자의 의견을 취합 - 미국 에너지부 (DOE, Department of Energy) : 100명 이상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설치 - 영국 : 리서치 위원회안에 10명 sim;20명 정도의 분과회를 설치 다. 각 국에서 검토 대상으로 하고 있는 대규모 연구시설 ○ 예산규모를 한정하고 검토 대상을 선정하지 않으며, 각 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연구기관의 예산 규모는 다양하다. - 영국, 독일, EU에서는 건설비와 10년간 운영경비가 1억 유로를 밑도는 연구시설도 대상으로 포함되어 있다. 라. 우선순위의 대응 ○ 미국 DOE에서는 소관의 국립연구소가 보유하는 대규모 연구시설(방사광 시설, 중성자 빔 시설, 핵융합 연구시설, 슈퍼컴퓨터 시설 등)의 우선순위 부여를 명확하게 실시 - 우선순위 1위에서 23위까지를 부여(복수의 시설이 같은 순위에 나열 가능) ○ 미국 국립과학재단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에서는, 명확하게 순위를 매겨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 출자해야 할 대규모 연구시설(천체관측시설, 지구관측시설 등)을 카테고리로 분류(독일도 같은 방식) 3. 해외 세부사례(미국) 가. 에너지부 (DOE, Department of Energy) ○ 로드맵 및 우선순위의 검토 방법 - 연구자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설치해, 과학으로서의 중요성 및 대규모 시설 건설을 위한 실현성 관점으로부터 검토 ·각 연구시설의 단계(연구개발, 개념 설계, 공학적 설계, 건설, 운전)를 정리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인 Break through, 해외의 동종·유사한 연구시설의 동향을 근거로 검토를 실시) ○ 대규모 연구시설의 종류별 로드맵을 작성(총 6개 분야) - 컴퓨터 과학(ASCR, Advanced Scientific Computing Research) - 기초 에너지 과학(BES, Basic Energy Sciences) - 생물·환경(BER,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Research) - 핵융합 과학(FES, Fusion Energy Sciences) - 고에너지 물리(HEP, High Energy Physics) - 핵물리(NP, Nuclear Physics) ○ 우선 순위 1위로부터 23위까지 부여 나. 국립과학재단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 대규모 연구시설의 종류 - 수학·물리 과학(Math Physical Sciences) - 지구과학(Geosciences) - 공학(Engineering) - 극지연구(Polar Programs) ○ 로드맵 및 우선순위의 검토 방법 - 이하의 기준에 근거해, 지원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연구시설을 선정 ·과학·기술면에 의한 평가기준 : 학제적인 분야의 연구자가 평가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전략에 근거한 평가기준 : 국립과학재단의 자문위원회가 평가 ·국가 전체의 전략에 근거한 평가기준 : 국가과학심의회(National Science Board)가 평가 - 5년 정도의 장래를 응시해 대규모 연구시설의 로드맵 책정 및 우선순위 부여 ·우선 순위에 대해 매년 재검토 실시 ·슈퍼컴퓨터와 같이 기술의 진전이 빠른 시설에 대해서는 로드맵의 재검토 빈도도 높다 ○ 주요 연구기기시설 건설 회계 - 일반회계외, 예산의 이월도 가능한 회계구분인 주요 연구기기 시설 건설 회계(Major Research Equipment and Facilities Construction-MREFC-Account Project)가 설치 ○ NSF는 국가과학심의회의 승인을 받은 후, 주요 연구기기시설 건설회계와 관련된 예산안을 우선순위 및 로드맵을 의회에 제출 ○ 2008년의 NSF의 대규모 연구시설에 관한 연간 예산액은 약 10억 달러이며 그 중 주요 연구기기시설 건설 회계는 약 2억 달러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308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