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2010년도 문부과학성 개산요구의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0-18 00:00:00.000
내용 1. 개산 요구액 구 분 전년도 예산액 2010 년도 개산요구액 전년도 대비 일반회계 52, 817 57, 562 + alpha; 4, 745 + alpha; 매니페스토공정표관계사항 0 4, 624 + alpha; 4, 624 + alpha; 의무적 경비의 당연增 2, 036 2, 227 191 기타 주요사항 50, 781 50, 711 △ 70 에너지 대책특별회계 1, 466 1, 466 0 ※ 의무적 경비의 당연 증은 과학공제기초연금출자 등 보조 , 국가공무원 조합부담금 ※ 중점요구 사항란은 「의사부족해소를 위한 의사 등 양성과 대학병원의 기능강화」「대학장학금 등 충실을 제외한 액 2. 요구에 관한 기본방침 ○ 2010 년도 개산요구에서는 특히 매니페스토 총리지시에 기초한 시책에 중점적으로 대처하여 지식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전체의 자산인 지적재산 ( 소프트 ) 과 인재 ( 휴먼 ) 로의 효과적인 투자에서 엄선 . ○ 한편으로 기존사업을 「재검토 시점」에 기초하여 제로베이스로 재검토하여 사업 수의 삭감 등 철저한 재검토를 실시 . 3. 문교관계 문부과학성 대신 취임 시의 총리지시에 입각하여 ①고교를 실질 무상화하고 대학은 장학금을 대폭 확충하는 등 교육에 관계된 국민의 부담을 경감하고 의지 있는 모든 사람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구축 ②장래의 일본을 지지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교원의 자질이나 수를 충실하는 것 등에 의해 질 높은 교육을 실현하는 시책을 전개 . (1) 매니페스토 공정표 관계사항 《①고교의 실질무상화》 4, 624 억엔 ( 신규 ) ○ 고등학교 등 취학지원금 4, 501 억엔 ( 신규 ) ○ 교교 장학금사업 등 충실 · 개선 123 억엔 ( 신규 ) 《② 의사부족 해소를 위한 의사 등 양성과 대학병원의 기능강화》 ※사항요구 《③ 대학장학금 등 충실》 ※사항요구 (2) 주요사항 《① 초등중등교육의 충실》 ○ 의무교육비 국고부담금 16, 380 억엔 ( △ 103 억엔 ) ○ 퇴직교육 등 인재활용사업 - 서포트 선생의 배치 - 77 억엔 (19 억엔 증 ) ○ 교원면허제도의 근본개혁 3 억엔 (1 억엔 증 ) ○ 대학에서 교원의 현직교육으로의 지원 등 4 억엔 ( △ 7 억엔 ) ○ 스쿨 카운셀러 등 활용사업 53 억엔 (13 억엔 증 ) ○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거점충실 1 억엔 ( 신규 ) ○ 유치원 취원 장려비 보조 209 억엔 (5 억엔 증 ) ○ 전국적인 학력조사의 실시 36 억엔 ( △ 21 억엔 ) ○ 신형 인플루엔자 대책의 실시 1 억엔 ( 신규 ) ○ 특별지원교육의 추진 83 억엔 (5 억엔 증 ) ○ 고등학교에 통학하는 이도 ( 외딴섬 ) 출신의 생도에 대한 기숙사 등 거주비 6 억엔 ( 신규 ) ○ 외국어교육의 충실 9 억엔 ( 前同 ) ○ 외국인 아동생도교육의 충실 3 억엔 ( 前同 ) ○ 학교운영지원사업의 추진 ( 커뮤니티 · 스쿨 등 ) 4 억엔 ( △ 2 억엔 ) ○ 학교 ICT 활용추진사업 7 억엔 (3 억엔 증 ) ○ 공립학교시설의 내진화 등의 추진 1, 086 억엔 (35 억엔 증 ) 《② 지역전체에서 교육 대처 체제 만들기 지원》 ○ 학교 · 가정 · 지역의 연대협력추진사업 137 억엔 ( △ 5 억엔 ) 《③ 고등교육의 기반정비와 질 향상》 ○ 국립대학법인 운영비 교부금 11, 708 억엔 (13 억엔 증 ) ○ 국립대학법인 등 시설 정비비 451 억엔 (10 억엔 증 ) ○ 사립대학 등 경상비 보조 3, 222 억엔 (4 억엔 증 ) ○ 사립고등학교 등 경상비 조성비 등 보조 1, 043 억엔 (4 억엔 증 ) ○ 사립학교시설 · 설비의 정비 192 억엔 ( △ 8 억엔 ) ○ 아시아 등에서 고도산업인재육성 거점 지원사업 10 억엔 ( 신규 ) 《④ 스포츠 입국의 실현》 ○ 종합형 지역 스포츠 클럽의 육성지원 3 억엔 ( 前同 ) ○ 경기력 향상 네셔널 프로젝트 9 억엔 (3 억엔 증 ) 《⑤ 문화예술입국의 실현과 문화발신》 ○ 미디어 예술의 진흥 17 억엔 (10 억엔 증 ) ○ 아이들을 위한 우수한 무대예술체험사업 50 억엔 ( 신규 ) ○ 문화재의 보존수리 · 방재시설 등 충실 108 억엔 (10 억엔 증 ) 4. 과학기술 · 학술관계 문부과학성 대신취임 시의 총리지시에 입각하여 「대학이나 연구기관의 교육력 · 연구력을 강화하여 과학기술의 힘으로 세계를 리드한다 」에 따라 일본의 과학기술력의 강화에 이바지 하는 시책을 전개 . 덧붙여 과학기술기본계획에 기초하여 진행되고 있는 시책과의 정합성을 꾀하고 연구현장에서의 혼란을 피하도록 배려 . (1) 중점요구사항 《① 그린 이노베이션을 목표한 연구개발》 125 억엔 (89 억엔 증 ) sim; 인문 · 사회과학도 포함한 종합적으로 혁신적 환경기술개발을 추진하여 하토야마 이니셔티브를 실현 sim; ○ 첨단적 저탄소화 기술개발 35 억엔 ( 신규 ) ○ 기후변동에 따른 환경변화로의 적응에 관한 연구개발 41 억엔 (18 억엔 증 ) ○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 시나리오 연구 3 억엔 ( 신규 ) 《② 성장의 원천이 되는 「기초과학력」의 강화》 3, 076 억엔 (138 억엔 증 ) (1) 기초연구의 충실 sim; 오바마 정권에 의한 「미국 역사상 최대규모의 기초연구 투자의 증가」등에 입각하여 10 년간 기초연구로의 투자를 배증 sim; ○ 과학연구비 보조금 2, 000 억엔 (30 억엔 증 ) ○ 전략적 창조연구추진사업 505 억엔 (8 억엔 증 ) ○ 전략적 기초과학연구강화 프로그램 20 억엔 ( 신규 ) (2) 차세대 슈퍼컴퓨팅 기술의 추진 sim; 국가에서 필요한 최첨단 IT 기술의 획득과 과학기술의 비약적 진전을 목표로 sim; [ 국고채무부담행위 600 억엔 ] ○ 차세대 슈퍼컴퓨터 268 억엔 (77 억엔 증 ) (3) 독창적 창조적 인재육성 sim; 장래의 과학기술을 리드하는 인재 층을 육성하는 학교를 5 년에 배증 sim; ○ 슈퍼 사이언스 하이스쿨 지원사업 22 억엔 (7 억엔 증 ) (2) 주요사항 《① 장래를 지지하는 과학기술 인재의 육성 · 확보 》 sim; 포닥 등의 젊은 연구자의 지원강화 sim; 이노베이션 창출을 담당할 젊은 연구자를 지원 sim; ○ 특별연구원 사업 (DC) 116 억엔 (6 억엔 증 ) ○ 젊은 연구자의 자립적 연구환경 정비촉진 107 억엔 (24 억엔 증 ) ○ 포닥 등의 참획에 의한 연구지원체제의 강화 10 억엔 ( 신규 ) 《② 과학기술외교의 전략적 추진》 sim; 지구규모과제의 해결로의 공헌이나 첨단적 과학기술분야에서의 국제협력의 추진 등 과학기술의 국제활동을 전략적으로 추진 sim; ○ 지구규모과제대응 국제과학기술협력사업 21 억엔 (10 억엔 증 ) 《③ 세계의 두뇌획득을 위한 지적거점형성 등》 sim; 대학이나 연구기관의 연구력을 강화하여 과학기술의 힘으로 세계를 리드 sim; ○ 세계 탑 레벨 연구거점 프로그램 (WP1) 93 억엔 (22 억엔 증 ) 《④ 건강장수사회실현을 목표한 연국의 추진》 sim; 건강장수사회의 실현을 위해 열쇠가 되는 재생의료 , 암 대책 , 인지증 극복 등에 관한 최첨단의 연구개발을 추진 sim; ○ 재생의료의 실현화 프로젝트 28 억엔 (2 억엔 증 ) ○ 암 · 생활 습관병 등 극복을 위한 첨단적 과학연구개발 이니셔티브 51 억엔 ( △ 11 억엔 ) ○ 뇌과학연구 전략추진 프로그램 24 억엔 (1 억엔 증 ) 《⑤일본의 성장력 강화에 이바지하는 기술기반의 확립》 sim; 대형설비의 정비 · 공용 sim; 나노에서 원자 · 소립자 레벨에서 첨단적인 연구기반시설의 정비 · 공용을 촉진 sim; ○ 대강도 양자가속기 시설 (J-PARC) 153 억엔 (6 억엔 증 ) ○ 대형 방사광 시설 (Spring-8) 86 억엔 ( △ 1 억엔 ) ○ X 선 자유전자 레이저 (XFEL) 48 억엔 ( △ 55 억엔 ) 《⑥산학관 연대 · 지역과학기술의 진흥》 sim;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 대학발 벤처의 창출 · 육성 등을 추진하는 동시에 지역의 대학 등을 핵으로 사업 니즈 등에 입각한 산학과 공동연구를 추진 sim; ○ 산학관민 연대에 의한 지역 이노베이션 클러스터 창성사업 ( 가칭 ) 15 억엔 ( 신규 ) ○ 지적 클러스터 창성사업 79 억엔 ( △ 10 억엔 ) ○ 산학관 연대전략 전개사업 29 억엔 ( △ 1 억엔 ) 《⑦ 대형국가 프로젝트의 추진》 (1) 우주개발 sim; 우주기본계획에 기초한 우주개발이용 등을 추진 sim; ○ 환경문제에 공헌하는 지구관측위성의 개발의 추진 130 억엔 (22 억엔 증 ) ○ 세계를 리드하는 창조적인 우주과학기술의 추진 226 억엔 (47 억엔 증 ) ○ 우주이용의 확대에 공헌하는 초소형 위성 등의 개발의 추진 38 억엔 (33 억엔 증 ) (2) 원자력 sim; 고속증식로 사이클 기술이나 에너지 등의 원자력 연구개발 · 이용을 추진 sim; ○ 고속증식로 사이클 기술 384 억엔 (37 억엔 증 ) ○ ITER ( 국제열핵융합실험로 ) 계획 등 100 억엔 ( △ 11 억엔 ) ○ 핵불확산 · 보장조치 이니셔티브 36 억엔 (2 억엔 증 ) (3) sim;남극관측 , 해양 · 지구과학기술 , 지진 , 방재에 관한 연구개발을 추진 sim; ○ 남극지역관측사업 35 억엔 ( △ 122 억엔 ) ○ 심해자원탐사 시스템의 개발 30 억엔 ( 前同 ) ○ 심해지구 시추 (drilling) 계획 119 억엔 ( △ 10 억엔 ) ○ 지진 · 해일 관측감시 시스템 15 억엔 (2 억엔 증 ) 삭감 · 재검토 액 △ 640 억엔 (1) 사업구분에 의한 지적사항 △ 53 억엔 (2) 독립행정법인 · 공익법인형 지출 △ 83 억엔 (3) 비슷한 사업의 정리 · 종합 △ 116 억엔 (4) 결산결과의 반영 등 기타의 재검토 △ 388 억엔 (5) 시설정비 · 새로운 하코모노 ( 공공 사업으로 건설된 청사·학교·회관 등의 속칭 ) 정비사업의 착수에 대해서는 동결 사업 수의 재검토 · 삭감 747 건 rarr; 688 건 ( △ 59 건 ) ※ 688 건 중 감액사업 수 305 건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28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