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의 달과 행성탐사에서의 우주개발 능력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8-29 00:00:00.000
내용 달 , 행성탐사에서의 일본의 우주개발 능력에 관한 보고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태양계 소천체탐사 (1) 의의 : 원시 천체라고도 불리는 소행성 , 혜성은 태양계의 형성 및 그 후의 초기진화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어 천체 탐사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 (2) 각국의 태양계 소천체 탐사기 니어 슈메이커 디프스페이스 1 스타더스트 하야부사 개발국 ( 기관 ) 미국 (NASA) 미국 (NASA) 미국 (NASA) 일본 (JAXA) 발사일 1996.2.17 1998.10.24 1999.2.7 2003.5.9 본체 치수 (m) 주 1) ( 불명 ) 1.7x0.66x0.66 1.0x1.6x11 발사 시 중량 (kg) 805 486.3 385 510 미션 기간 ~2001.2.28 2001.12.18 2006.1.15 2010.6( 예정 ) 계획비 ( 백만달러 ) 224.1 149.7 168.4 ( 약 235 억엔 ) 주 1) 면적 약 1.7m 2 의 알루미늄 판 8 장으로 만들어진 팔면체 로제타호 디프임펙트 뉴허라이즌스 돈 개발국 ( 기관 ) 유럽 (ESA) 미국 (NASA) 미국 (NASA) 미국 (NASA) 발사일 2004.3.2 2005.1.12 2006.1.19 2007.9.27 본체 치수 (m) 2.8x2.1x2.0 3.3x1.7x2.3 0.7x2.1x2.7 1.64x1.27x1.77 발사 시 중량 (kg) 3,000 973 478 1,217.7 미션 기간 ~2015.12( 예정 ) ~2005.8 ~2015.7( 예정 ) ~2015.7( 예정 ) 계획비 ( 백만달러 ) ( 약 10 억유로 ) 333 700 357.5 (1 달러 =1,089 1,089.00 원 , 100 엔 =99 997.80 원 , 1 유로 =1,604 1,604.97 원 , 2008 년 8 월 29 일 현재 ) (3) 필요 기술 ① 이온엔진 기술 ② 시료채취 및 재돌입 캡슐 기술 2. 달 탐사 (1) 의의 : 달은 지구와 비슷한 시기인 약 45 억년 전에 탄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구형 행성과 달라 화산활동 , 풍화 등에 의한 변화를 거치지 않아 초기 진화 역사를 그대로 가지고 있고 , 지구와의 거리도 가까워 행성 과학의 형태 연구대상이다 . (2) 각국의 달 탐사선 가구야 상아 1 호 찬드라얀 1 호 SMART-1 개발국 ( 기관 ) 일본 (JAXA) 중국 (CNSA) 인도 (ISRO) 유럽 (ESA) 발사일 2007.9.14 2007.10.24 2008.10( 예정 ) 2003.9.27 본체 치수 (m) 2.1x2.1x4.8 2.0x1.7x2.2 1.5x1.5x1.5 1x1x1 발사 시 중량 (kg) 2.885 2.350 1,304 366.5 미션 기간 1 년 1 년 2 년 1.5 년 주 1) 계획비 약 550 억엔 약 14 억위안 약 38.6 억루피 약 1.1 억 유로 주 1) 당초 반년 예정 , 1 년 연장 루나프로스펙터 LRO LCROSS GRAIL 개발국 ( 기관 ) 미국 (NASA) 미국 (NASA) 미국 (NASA) 미국 (NASA) 발사일 1998.1.7 2009.2.27( 예정 ) 2011.9( 예정 ) 본체 치수 (m) 1.37x1.28 ( 불명 ) ( 불명 ) ( 불명 ) 발사 시 중량 (kg) 296 1,846 834 466.1 미션 기간 1.5 년 1 년 약 86 일 약 90 일 주 1) 계획비 ( 백만달러 ) 63 421 375 주 1) 미션 종료 후 달에 낙하 (10 위안 =1,594 1,594.70 원 , 100 루피 =2,492 2,492.00 원 , 2008 년 8 월 29 일 현재 ) 3. 일본의 우주개발 능력 (1) 독자적인 우주기술 확립 일본은 앞으로의 태양계 소천체 탐사의 하나의 기술체계라고도 할 수 있는 이온엔진을 사용한 행성간 왕복항해 , 능동형 표면시료 채취 및 캡슐 회수 (2010 년 6 월 예정 ) 에 의한 샘플리턴 기술 실증에 거의 성공했다 . (2) 대학 공동이용 시스템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JAXA) 의 우주과학연구본부 (ISAS) 는 대학공동 이용 시스템으로써 기능하고 일본의 대학 및 연구소 등의 연구자의 계획 참여를 넓혀 우주과학 프로젝트를 진행함과 동시에 각 대학의 요청에 따라 연계대학원 제도를 운영하여 우주항공 분야의 대학원 교육에 협력하고 있다 . (3) 달의 종합적 과학연구 ' 가구야 ' 의 달 탐사는 아폴로 계획 이후의 세계 최첨단의 본격적인 달과학 탐사 미션으로 , 타국과 비교하여 달을 순수한 과학연구 대상으로써 그 탄생과 진화의 비밀을 종합적으로 해명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4. 제언 및 앞으로의 방향성 (1) 독자적인 우주기술의 지속적인 개발과 국제협력 ' 하야부사 ' 의 개발 기술을 살린 유럽과 일본의 공동연구와 태양관측 위성 ' 히노데 ' 등의 사례는 일본의 독자적인 고도 기술이 리더십을 발휘하여 국제협력을 추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달 , 행성 탐사는 미션의 기획 입안에서 운용종료까지 약 10~20 년의 기간이 필요하여 , 미션 종료 후 차기 계획을 진행하게 되면 은퇴 등을 이유로 연구자와 기술자 들의 기반이 없어지게 된다 . 계획적인 미션을 기획하고 입안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 (2)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이공계 교육활동 ' 가구야 ' 위성이 수집한 자료와 정보는 2008 년 5 월 말부터 일본 국내의 과학관 , 고등학교 , 대학교 등의 교육관계 기관 , 또 해외의 교육관계 기관 및 연구기관에 무상 배포되고 있다 . 달 , 행성 탐사의 성과로 청소년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여 미래 이공계 인재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 . 목차 gt; gt; 1. 서문 2. 변모해가는 태양계 2-1. 행성의 정의 2-2. 태양계 형성이론 3. 태양계 소천체탐사에 관한 내외의 동향 3-1. 태양계 소천체 탐사의 의의 3-2. 내외의 동향 3-3. 태양계 소천체 탐사에 필요한 기술 (1) 이온엔진 기술 (2) 시료 채취 및 재돌입 캡슐 기술 4. 달 탐사에 관한 내외의 동향 4-1. 달 탐사의 의의 4-2. 내외의 동향 4-3. 달 탐사에 필요한 기술 5. ' 하야부사 ' 및 ' 가구야 ' 미션에서 나타나는 일본의 우주개발 능력 (1) 다른 나라의 추종을 허락하지 않는 일본의 독자적인 우주 기술 확립 (2) 대학 공동이용 시스템을 통한 일본 예지의 결집 (3) 달의 종합적 과학연구 추진 6. 제언과 앞으로의 방향성 (1) 다른 나라의 추종을 허락하지 않는 일본 독자적인 우주기술의 계속적인 개발과 국제협력의 추진 (2) 청소년의 이공계 교육활동 추진 맺음말 – 여러 지구형 행성의 모습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2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