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과학기술정책수립과정의 개선방안: 정책결정과정의 참여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5-05-24 00:00:00.000
내용 〔요 약〕 제 1 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15 제 2 장 과학기술정책과정 참여에 관한 이론적 배경.....18 제 1 절 과학기술정책과정과 참여................................18 1. 과학기술정책에서 시민참여의 필요성.........................18 2. 시민참여의 개념과 참여유형................................30 3. 시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연구...............................35 제 2 절 정책결정과정에서 참여방법과 참여대상...................42 제 3 절 과학기술정책과정 참여유형 분석틀.......................45 1. 유형I...................................................50 2. 유형II...................................................50 3. 유형III..................................................51 4. 유형IV..................................................52 제 3 장 우리 나라 과학기술정책과정......................53 제 1 절 과학기술기본법의 목적과 주요내용.......................53 1. 과학기술법의 목적........................................53 2. 과학기술기본법의 주요내용.................................56 제 2 절 과학기술정책과정의 시민참여제약요인....................59 1. 과학기술정책과정.........................................59 2. 참여과정의 제약요인......................................61 제 3 절 최근의 과학기술정책과정의 발전적 변화..................81 제 4 장 오프라인 시민참여방법 분석......................91 제 1 절 시민참여모델의 내용과 효과평가.........................92 1. 시민참여모델의 내용......................................92 2. 시민참여모델의 효과성 평가...............................106 3. 시민참여제도와 국가사회문화의 상호관련성..................112 제 2 절 국가별 시민참여활용사례...............................119 1. 영국 의회과학기술국(POST)의 시민참여제도.................119 2. 덴마크의 의회기술국의 시민참여제도........................143 3. 캐나다의 과학기술자문원칙 및 지침.........................148 제 3 절 시민참여 제도화를 위한 원칙과 표준절차................152 1. 일반원칙...............................................153 2. 표준절차...............................................154 3. 다양한 참여방법의 장단점과 비용분석.......................155 제 5 장 온라인 시민참여방법 분석........................158 제 1 절 온라인 참여방법의 등장과 발전.........................158 1. 온라인 참여방법의 등장...................................160 2. 온라인 참여방법의 발전과정...............................162 제 2 절 온라인 참여 외국사례..................................174 1. 호주의 시민사회모델.....................................174 2. 일본의 후지사와시 사례...................................175 3. 덴마크 디지털 행정 프로그램..............................176 4. 캐나다 에너지기술미래 프로젝트...........................178 5. 네델란드 국내도시문제 및 소수민족통합부 사례...............180 6. 미국 미네소타주 IssueTalk...............................181 제 3 절 온라인 참여 제도화....................................184 1. 외국의 전자협의 과정....................................184 2. 온라인 시민참여에 대한 제약요인..........................201 3. 온라인 시민참여를 위한 중재자의 역할과 필요한 숙련된 기술...205 제 4 절 온라인 시민참여방식의 발전적 경향: 리눅스형 참여모형...208 1. 리눅스형 참여모형의 특징.................................208 2. 리눅스형 참여모형의 참여방식.............................211 제 6 장 우리 나라 과학기술정책참여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 ....................................................214 1. 과학기술정책의 참여확대를 위해서 새로운 분석모델이 필요하다. ......................................................214 2. 현재 과학기술부가 활용하고 있는 참여방법들에 대한 효과분석을 행하는 조직이 필요하다.......................................216 3. 다양한 시민단체들의 참여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217 4. 외국정부들이 행하고 있는 오프라인 참여방법들을 체계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준비가 마련되어야 한다............................218 5. 온라인을 통한 시민참여방법에 대한 외국사례를 연구분석해야 한다. ......................................................219 6.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적절히 결합한 참여방법을 확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221 [참고문헌]...................................................222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5018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과학기술정책수립